[기후의 역습(134)] 북극 식생지도 바뀐다⋯기후변화가 촉발한 생태계 구조 전환

입력 : 2025.05.04 19:25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 관목 급증·초본 감소⋯생물다양성, 지역 따라 '양극화'
  • 40년간 북극 2천여 식물 군집 분석⋯'탄소 순환에도 영향'
툰드라.jpg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UC)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진에 따르면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 지역 식생이 키가 큰 관목 개체수가 급증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툰드라 식물은 캐나다 고위도 북극 지방의누나부트 준주 엘즈미어 섬 등 일부 지역에서 매우 짧은 여름철에도 살아남을 수 있다. 사진=앤 비요크만, 예테보리 대학교/UC데이비스 홈페이지 캡처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 지역 식생이 예상과 달리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UC)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진은 북극 일부 지역에서는 식물 종 다양성이 증가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등 복잡한 양상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된 이번 연구는 1981년부터 2022년까지 40여 년간 북극 툰드라 45개 지역, 총 2,174개 식물 군집을 조사한 자료 4만2,000여 건을 분석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에든버러대학교가 주도하고,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와 UC데이비스 등 전 세계 49개 연구기관이 공동 참여했다.


연구진은 캐나다 고위도 북극 툰드라, 스발바르제도, 알래스카와 페노스칸디나비아의 아고산 지대 등 다양한 기후 조건의 북극 식생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북극 전역에서는 키가 큰 관목과 풀의 개체수가 급증하는 반면, 그늘에 약한 초본 식물과 꽃 식물의 생육은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캐나다 북극 .jpg
과학자들은 캐나다 북극의 키키크타룩-허셜 섬에서 포인트 프레이밍을 사용하여 툰드라 식물 생물다양성 데이터를 수집한다. 사진=UC데이비스

 

이번 연구는 북극이 전 세계 평균보다 4배 빠르게 온난화되는 가운데, 이러한 식생 변화가 생태계 전반의 구조적 전환을 암시하는 '조기 경보'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식물 구조의 변화는 북극 동물과 지역 원주민 사회, 나아가 지구의 탄소 순환 체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마리아나 가르시아 크리아도 박사(에든버러대)는 "툰드라 생태계는 1㎡에 수십 종의 식물이 서식할 정도로 의외로 다양성이 높다"며 "기온 상승이 일부 지역에서는 식물 종을 늘렸지만, 관목이 우점하게 된 지역에선 오히려 생물다양성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공동저자인 아일라 마이어스 스미스 교수(에든버러대·브리티시컬럼비아대)는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 감소로만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추운 북극에서는 관목 우점 여부에 따라 다양성 증가와 감소가 양분되는 복합적 결과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렉 헨리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명예교수는 "북극 생태계 변화는 식물에서 시작된다"며 "장기적인 관측 없이는 이 같은 복합적인 생태계 반응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연합(EU)과 영국 자연환경연구위원회(NERC)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진은 수집된 식생 데이터베이스가 향후 북극 생태계 예측과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핵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성은 기자 yuna@foeconomy.co.kr
© 포커스온경제 & www.foeconom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ESGC 많이 본 기사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후의 역습(134)] 북극 식생지도 바뀐다⋯기후변화가 촉발한 생태계 구조 전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