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초반 상승에도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 반전…이틀 연속 약세
  • 삼성전자 상승·하이닉스 약보합…2차전지·자동차주 동반 하락, 환율 1,477원 돌파
PYH2025112413970001300.jpg
2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7.20포인트(0.19%) 내린 3,846.06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7.51포인트(0.87%) 내린 856.44로 장을 마쳤다. 사진=연합뉴스

 

코스피가 24일 장 막판 하락세로 돌아서며 3,840선으로 밀려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7.20포인트(0.19%) 내린 3,846.06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 3.79% 급락에 이어 이틀 연속 약세다. 지수는 장 초반 3,917.16까지 상승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폭을 반납했다. 


코스닥은 7.51포인트(0.87%) 내린 856.44로 장을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1.5원 오른 1,477.1원으로 8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삼성전자(2.00%)는 상승했지만 SK하이닉스(-0.19%)는 소폭 하락으로 전환했다. 인적분할 후 상장한 삼양바이오팜은 상한가(29.89%)로 마감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3.17%), 삼성SDI(-2.60%) 등 2차전지주는 약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AI 거품 논란 속 수급 불안이 이어지며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이라고 진단했다.


[미니해설] 코스피, 장 마감 직전 하락 전환해 3,840대 후퇴


24일 코스피가 장중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3,840선으로 밀리며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세가 초반 상승을 이끌었지만, 장 막판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지수가 하락 반전했다. 직전 거래일(21일) 3.79% 급락에 이어 이틀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시장의 불안심리를 반영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61.90포인트(1.61%) 오른 3,915.16으로 출발했으나 장중 상승폭을 줄이며 3,846.06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은 0.87% 내린 856.44로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1.5원 오른 1,477.1원으로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와 바이오가 엇갈렸다. 삼성전자는 2.00% 상승하며 낙폭을 일부 만회했지만, SK하이닉스는 -0.19%로 마감해 전일 급락의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인적 분할 이후 거래를 재개한 삼성바이오로직스(-0.45%)도 약세였다. 반면 인적분할 후 첫 거래일을 맞은 삼양바이오팜은 상한가(29.89%)로 거래를 마쳤다.


2차전지주와 자동차주는 동반 약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3.17%), 삼성SDI(-2.60%), 현대차(-0.77%), 기아(-2.54%) 등이 일제히 하락했다. 셀트리온(-2.83%)과 한화오션(-0.83%), HD현대중공업(-0.54%)도 약세로 마감했다. 금융주 역시 초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KB금융(-0.17%), 신한지주(-0.91%), 하나금융지주(-1.65%) 등으로 약보합권에 머물렀다.


환율 상승과 글로벌 금리 불확실성, 그리고 AI 거품 논란이 증시 전반의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는 분석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AI 관련주의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부담이 커지면서 기술주 중심의 변동성이 확대된 것이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오는 12월 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약 69%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뉴욕 연은의 존 윌리엄스 총재는 "기준금리 추가 조정의 여지가 남아 있다"고 언급해 시장의 기대를 제약했다.


국내 증권가는 최근의 급등락을 펀더멘털(기초체력)보다는 수급 요인에 따른 일시적 조정으로 보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변동성 확대는 펀더멘털 악화 때문이 아니라 매수·매도 타이밍이 엇갈리는 수급 불균형의 결과"라며 "급락 시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미국 증시는 직전 거래일인 지난 21일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08%, S&P500은 0.98%, 나스닥은 0.88% 각각 올랐다. 그러나 국내 증시는 이에 연동되지 못한 채 상승세를 되돌렸다. 전문가들은 국내 시장이 미 증시보다 환율, 수급, AI 거품 우려 등 복합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코스피 약세는 단기 조정 국면으로 해석되지만, 향후 변동성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AI 종목의 주가 흐름과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이 국내 증시의 중기 흐름을 좌우할 전망이다.


시장의 관심은 이달 말 예정된 미국의 경제 지표 발표와 12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로 쏠리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AI·반도체 관련 종목의 회복력과 달러 강세 완화 여부가 국내 증시의 방향성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증시 레이더] 코스피, 장 막판 하락 전환⋯3,840선 마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