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김주현, "태영, 채권단 신뢰 회복 시급"…워크아웃 난항
-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태영그룹과 채권단 사이에 상호 신뢰가 형성되지 않은 것 같다며, 태영 측에 신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신속하게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김 위원장은 5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서민금융지원 현장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태영그룹이 제안한 자구안이 채권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대해, 김 위원장은 채권단의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그는 문제가 되는 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대주주가 진정성 있는 자구 노력을 보여야 하며, 이에 대한 채권단의 신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상호 간 신뢰가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워크아웃이 성공하기 위한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11일로 예정된 1차 채권단 협의회까지 "'날짜가 많지 않다"며, 신속한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김 의원장은 태영인더스트리의 매각대금 1549억원을 둘러싼 태영그룹과 채권단 간의 해석 차이에 대해 "워크아웃 과정에서의 밀고 당기기는 피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태영그룹은 태영인더스트리의 매각대금 전액을 태영건설의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채권단은 태영그룹의 TY홀딩스 연대보증 채무 상환액 890억원을 태영건설의 자구안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김 위원장은 이러한 밀고 당기는 과정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하면서도, 진정성 있는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워크아웃을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될 만한 제안을 채권단이 기대하고 있다"고 말하며, 양측이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아내길 바란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한편, 김위원장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무 문제가 롯데건설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롯데건설이 이러한 상황에 놓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롯데건설은 이런 예상 가능한 상황을 대비해 작년부터 유동성을 확보했으며, 태영건설과는 건설업체로서의 성격도 다르다"고 설명했다. 또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대출 연체 이력을 가진 차주가 빚을 갚을 경우 연체 정보를 삭제하는 소위 '신용 사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실행하기 어렵지 않다"며, "즉시 검토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국제통화기금(IMF) 위기와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는 연체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과거에도 신용 정보를 신속하게 정상화하여 경제 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해왔다"고 부연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문제가 자구책 이행을 두고 난항을 겪는 가운데 '제2의 태영건설' 가능성이 제기된 건설사들이 잇달아 유동성 상황을 밝히고 해명에 나섰다. 증권업계에서는 유동성 리스크가 있는 기업으로 롯데건설과 동부건설, 신세계건설 등을 언급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주요 건설사들 가운데 롯데건설(212.7%), 현대건설(121.9%), HDC현대산업개발(77.9%), GS건설(60.7%), KCC건설(56.4%), 신세계건설(50.0%) 등 건설사들이 작년 9월 말 기준 자기자본 대비 PF 보증 규모가 50%를 초과했다고 지적했다. 한신평이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건설사 20여곳 중에서 장기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인 기업은 롯데건설, 신세계건설,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네 곳이다. 이에 롯데건설은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1분기 만기가 도래하는 미착공 PF 3조2000억원 중 2조4000억원은 이달 중 시중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 펀드 조성 등을 통해 본 PF 전환 시점까지 장기 조달구조로 연장할 예정이며, 나머지 8000억원도 1분기 내 본 PF 전환 등으로 해소할 계획"이라며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 PF 우발채무 관리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신세계그룹은 4일 건설 사업의 현재 상황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그룹 차원에서 가능한 지원을 모색하고 단계별로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혀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구체적으로 신세계그룹은 신세계영랑호리조트의 흡수합병을 이사회에서 결의함으로써 자본을 확충하고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신세계건설의 재무 구조가 개선되고, 회사의 신용도 및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작년 11월 신세계건설은 재무 안전성 강화를 위해 신세계영랑호리조트를 흡수합병을 통해 약 650억원 규모 자본을 확충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그룹은 앞으로도 면밀한 계획과 준비를 통해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고 재무 구조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임을 강조했다. 동부건설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작년 4분기 3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해 재무 안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작년 4분기 해외 현장의 공사대금과 준공 현장 수금, 대여금 회수 등으로 약 3000억원을 선제적으로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동부건설은 향후 낮은 금리의 사업자금 대출을 예정대로 진행하고, 높은 금리의 운영자금을 지속적으로 상환하여 이자 비용과 채무 상환 부담을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무와 관련해서는 "지난해 3분기 기준 PF 우발채무 규모가 2000억원대(보증한도 기준)로, 전체 PF 시장 규모 134조원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리스크가 없음을 강조했다.
-
- 산업
-
김주현, "태영, 채권단 신뢰 회복 시급"…워크아웃 난항
-
-
스타벅스·코스타 등 커피 체인점, 제품 30% 설탕 과다 함유
- 커피 브랜드 스타벅스와 코스타의 커피 관련 제품 3개 중 1개에 설탕이 기준치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최대 언론사 더 선(The SUN)은 테이크아웃 커피숍에서 마시는 음료 3잔 중 1잔에는 성인이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설탕이 포함되어 있다는 '액션 온 슈거'의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액션 온 슈거'에 따르면 스타벅스와 코스타 같이 최고 브랜드로 알려진 커피 체인점에서 판매되는 커피, 프라푸치노, 달콤한 간식 중 3분의 1이 일일 설탕 섭취 권장량인 30g을 초과했다. 커피 리퍼블릭(Coffee Republic)의 한 밀크셰이크와 케이크 조합에는 '유리 설탕'이 157g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하루 권장량의 무려 5배에 달한다. 연구팀은 영국의 9개 주요 매장에서 판매되는 수백 가지 제품에 설탕 함량이 '높음'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액션 온 슈거'의 그라함 맥그리거(Graham MacGregor) 교수는 기업들이 영양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는 것에 대해 강한 비판을 제기했다. 맥그리거 교수는 기업들의 이러한 행태와 함께, 정부가 설탕 감소를 위한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하여, 영국 국영의료 서비스(NHS)는 영국 국민들에게 음료, 비스킷, 초콜릿 등에 포함된 첨가당인 '유리 설탕'을 하루에 30g 이내로 제한하고, 전체 설탕 섭취량을 90g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권장 사항은 공중 보건을 위한 중요한 지침으로, 소비자들이 섭취하는 식품의 설탕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최근 연구에서 9개의 고급 커피 체인점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이 설탕 함량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그들이 제공하는 영양 정보에 대해 조사했다. 이 연구는 과도한 설탕 섭취가 당뇨병, 비만, 암, 심장병 같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일부 커피 체인점은 판매 시점에 칼로리 정보는 표시하고 있지만, 제품의 설탕 함량을 공개할 의무는 없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상점에 있는 782개의 달콤한 식품 및 음료 제품에 대한 성분 표시가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하여 '액션 온 슈거'의 조 데이비스(Zoe Davies)는 소비자들이 단순한 음료와 케이크 구매로 얼마나 쉽게 과도한 설탕과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데이비스는 "간단한 구매만으로도 39티스푼의 설탕과 1300칼로리 이상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탕 함량에 대한 정보가 판매 시점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아 소비자들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상황을 비판했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이 무엇을 구매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더 명확한 라벨링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스타벅스 대변인은 "우리는 고객들이 정보에 기반하여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2012년부터 설탕 함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해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무설탕 시럽을 개발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우리는 2018년부터 프라푸치노 커피 베이스 시럽의 설탕을 34% 줄이고 베이킹 제품의 설탕 함량을 14% 감소시키는 등 음료의 설탕 함량을 줄이기 위한 레시피 개선 작업을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온라인과 메뉴판을 통해 영양 정보를 제공하며, 고객들이 자신의 취향과 건강 요구에 맞는 음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
- 생활경제
-
스타벅스·코스타 등 커피 체인점, 제품 30% 설탕 과다 함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