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TI 배럴당 58달러대 초반-브렌트유 62달러대
- 국제금값, 추가 금리인하 전망 등에 반등
국제유가는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감 등 영향으로 하락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내년 1월물 가격은 선물 가격은 21일(현지시간) 배럴당 58.06달러로 장을 마쳐 전장 대비 1.6%(94센트) 내린 배럴당 58.06달러에 마감됐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북해산 브렌트유 내년 1월물은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3%(92센트) 하락한 배럴당 62.5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WTI와 브렌트유 선물가격은 종가 기준으로 지난달 21일 이후 약 한 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국제유가가 하락한 것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미국이 제시한 평화협상안에 합의할 경우 대러시아 제재가 철회되고 이에 따라 글로벌 석유시장 공급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부각된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28개항 평화계획’ 초안을 양측에 전달하고, 오는 27일까지 협상안에 합의할 것을 시한으로 제시하며 수용을 압박했다. 우크라이나가 미국 정부로부터 이전 어느 평화협상 때보다 강한 압력을 받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미국이 제시한 러시아와의 존전을 위한 새로운 평화안과 관련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협의했다고 복수의 외신들이 보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 측으로부터 우크라이나 평화 계획을 전달받았다고 밝히고 해당 계획이 양국 간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나타냈다고 러시아 타스통신은 보도했다.
이와 함께 달러가치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국제유가를 끌어내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주요 6개통화에 대한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이날 장중 소폭 상승해 10.13으로 약 반년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평화협상안에 우크라이나의 영토 양보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크라이나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불투명한 상황이 제기되고 있는 점은 유가 하락폭을 제한했다.
스트래티직에너지앤이코노믹 리서치의 마이클 린치 대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안이 수용될 지 여부를 알기 어렵다”면서 “유가가 재상승할 가능성도 있다”도 지적했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은 투자자 노트에서 평화계획 합의까지는 아직 거리가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시장이 러시아의 두 대형 에너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최근 제재가 실제로 이행될지에 대해 의문을 갖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국제금값은 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기대감 등에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물 금가격은 0.5%(19.5달러) 오른 온스당 4079.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