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OLED 구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전력 소비 15% 절감
LG디스플레이 형광과 인광의 발광 메커니즘 구조도.jpg
LG디스플레이는 1일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는 청색 인광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품화 단계 성능 검증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형광과 인광의 발광 메커니즘 구조도.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는 청색 인광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품화 단계 성능 검증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양산 라인 기반에서 실질적인 성능과 공정 안정성까지 확보한 첫 사례로, 유기물질이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인 OLED 기술의 진화를 보여주는 성과다.


OLED는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구조로, LCD와 달리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얇고 가벼우며 높은 명암비와 색재현력을 자랑한다. OLED의 발광 방식은 전통적으로 형광과 인광으로 나뉜다. 형광은 구조가 단순하지만 효율은 25% 수준에 머무는 반면, 인광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 후 방출해 최대 100%에 가까운 효율을 내는 고난도 기술이다.


그간 OLED에서 적색과 녹색은 인광 방식으로 상용화에 성공했지만, 청색은 짧은 파장과 높은 에너지 요구로 인해 인광 구현이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全) 인광 OLED’, 이른바 '꿈의 OLED' 실현을 위한 마지막 퍼즐로 청색 인광의 상용화가 꼽혀왔다.


LG디스플레이는 이 기술적 한계를 ‘하이브리드 투스택 탠덤’ 구조로 극복했다. 하단에는 청색 형광층을, 상단에는 청색 인광층을 적층함으로써 기존 OLED 수준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력 소모는 약 15%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번 검증은 실험실 단계를 넘어 실제 양산 공정에서의 성능, 광학 특성, 공정 안정성까지 모두 확인한 최초의 사례로, LG디스플레이는 미국 유니버셜디스플레이코퍼레이션(UDC)과의 공동 협력을 통해 제품화 검증을 완료했다. 아울러 이 기술에 대한 특허는 한국과 미국 양국에 단독 출원한 상태다.


LG디스플레이는 오는 1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박람회 'SID 2025'에서 해당 기술이 적용된 중소형 OLED 패널을 공개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IT 기기에 적용 가능한 제품군이 주 전시 대상이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꿈의 OLED 실현을 위한 마지막 조각이라 불린 청색 인광 제품화 검증의 성공은 차세대 OLED로 나아가는 결정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LG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청색 인광 OLED' 제품화 검증 성공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